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개발 공부 기록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개발 공부 기록

검색하기 폼
  • 블로그 (102)
    • Study (100)
      • JAVA (30)
      • SpringBoot (16)
      • C++ (10)
      • Kafka (10)
      • Kubernetes (7)
      • Backend (7)
      • 프로젝트 (5)
      • Node.js (3)
      • 정보처리기사 (3)
      • Docker (2)
      • Linux (2)
      • Python (2)
      • 오답 기록 (2)
      • React (0)
      • Frontend (1)
    • Private (2)
  • 방명록

2023/10/17 (1)
[SpringBoot] 스프링 핵심 원리 섹션1 | 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 | 스프링 등장 배경|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SOLID 원칙

1. EJB의 한계와 스프링의 탄생EJB란? EJB(Enterprise JavaBeans)는 기업환경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서버측 컴포넌트 모델이다. 즉, EJB는 애플리케이션의 업무 로직을 가지고 있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이다. 2000년대 초반에는 EJB라는 개념이 획기적이었고, Java 진영에서 표준으로 인정한 기술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었다. 의 한계EJB의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EJB 스펙을 사용해야 했고, 그로 인하여 서비스가 구현해야 하는 비즈니스 로직보다 EJB 컨테이너 설정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했다. 이런 복잡한 EJB의 컨테이너를 대체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이 바로 Spring 컨테이너이다. 의 등장하이버네이트 ORM(Hibernate ORM)은 자바 언어를 위한..

Study/SpringBoot 2023. 10. 17. 18:01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GitHub
TAG
more
«   2023/10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