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본 포스팅은 인프런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부트 핵심 원리 강의 섹션 3을 수강하고 배운 점을 정리했습니다.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인프런 | 강의

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의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스프링 기본기를 확실히 다질 수 있습니다., 스프링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성장하는 백엔드 개발자가 되어보세요! 📢

www.inflearn.com

 

 

1. 새로운 할인 정책 개발

DiscountPolicy인터페이스의 두 가지 구현체

 

기존에 고정 금액 할인을 구현하는 FixDiscountPolicy 이외에

주문 금액당 할인하는 정률% 할인을 구현하는 RateDiscountPolicy를 구현해 보자.

 

 

RateDiscountPolicy.java

package hello.core.discount;
import hello.core.member.Grad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public class Rate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
    
 		private int discountPercent = 10; //10% 할인
        
 		@Override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
        
 			if (member.getGrade() == Grade.VIP) {
				return price * discountPercent / 100;
			} else {
 				return 0;
 			}
 		}
	}

 

이제 할인 정책을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해 보자.

 

OrderServiceImpl.java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new FixDiscountPolic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new RateDiscountPolicy();
}
`

기존에 사용하던 FixdiscountPolicy는 삭제하고, 새로운 RateDiscountPolicy로 대체한 모습

 

이때, 위 코드는 OCP, DIP 객체 지향 설계 원칙을 위반한다.

  • DIP: 주문 서비스 클라이언트(OrderServiceImpl)는 추상 인터페이스 DiscountPolicy 뿐만 아니라 구현 클래스에도 의존하고 있다.
    • 추상 인터페이스 의존: DiscountPolicy
    • 구현 클래스: FixDiscountPolicy , RateDiscountPolicy
  • OCP: 현재 코드는 기능을 확장해서 변경하면(고정 할인 -> 정률 할인)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해야 한다. 즉 클라이언트 코드에 영향을 준다.  

클라이언트 코드가 구현체에도 의존하고 있는 모습

 

💡 구현체가 아닌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하도록 설계 변경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new RateDiscountPolicy();
 	private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하도록 구현체 부분을 삭제했다. 그런데 그럼 어떻게 코드를 실행할까?

💡 OrderServiceImpleDiscountPolicy의 구현 객체를 대신 생성하고 주입해 줄 누군가가 필요하다.

 

 

2. 관심사의 분리 AppConfig

- AppConfig: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동작 방식을 구성(config) 하기 위해,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는 책임을 가지는 별도의 설정 클래스

package hello.core;
import hello.core.discount.Fix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Servic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
import 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order.OrderService;
import hello.core.order.OrderServiceImpl;

public class AppConfig {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new MemoryMemberRepository());
 	}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new MemoryMemberRepository(),new FixDiscountPolicy());
 	}
}
  • AppConfig는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동작에 필요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객체 인스턴스를 생성자를 통해 주입해 준다.
  • 이제 MemberService, OrderService 각 객체는 어떤 객체가 주입될지 모르고 오직 AppConfig가 결정한다.
  • 또한 클라이언트 MemberServiceImpl은 의존관계에 대한 고민 없이 실행에만 집중할 수 있다. 

 

3. AppConfig 리펙토링

중복을 제거하고, 역할에 따른 구현이 보이도록 리펙토링 하기

package hello.core;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discount.Fix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Servic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
import 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order.OrderService;
import hello.core.order.OrderServiceImpl;

public class AppConfig {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
  • 기존에 MemberRepository가 중복되던 것을 제거하고 따로 빼두었다. 
  • 만약 DiscountPolicy를 고정에서 정률로 수정하고 싶다면, AppConfig에서 discountPolicy의 리턴값만 변경해 주면 되는 것이다!

 

 

4.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의 적용

  • SRP 단일 책임 원칙: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는 책임은 AppConfig가 담당
    • 클라이언트 객체는 실행하는 책임만 담당
  • DIP 의존관계 역전 원칙: 추상화에 의존해야지,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 된다.
    • AppConfig가 객체 인스턴스를 대신 생성해서 클라이언트 코드에 의존관계를 주입한다. 
  • OCP: 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 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 애플리케이션 사용 영역과 구성 영역으로 나눔
    • 소프트웨어 요소를 새롭게 확장해도 사용 영역의 변경은 닫혀 있다.

 

5. IoC, DI, 그리고 컨테이너

  • 제어의 역전 IoC(Inversion of Control)
    • 기존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구현 객체가 스스로 필요한 서버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고, 실행했다. 한마디
      로 구현 객체가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스스로 조종했다. 개발자 입장에서는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 반면에 AppConfig가 등장한 이후에 구현 객체는 자신의 로직을 실행하는 역할만 담당한다. 프로그램의 제어 흐
      름은 이제 AppConfig가 가져간다.
    • 이렇듯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제어의 역전(IoC)이라 한다.
  • 의존관계 주입 DI(Dependency Injection)
    • 의존관계는 정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와, 실행 시점에 결정되는 동적인 객체(인스턴스) 의존 관계 둘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
    • 정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 코드만 보아도 쉽게 판단할 수 있음.

  • 동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시점에 실제 생성된 객체 인스턴스의 참조가 연결된 의존 관계

 

  • IoC 컨테이너, DI 컨테이너
    • AppConfig처럼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 주는 것을 IoC 컨테이너 또는 DI 컨테이너라 한다

 

 

6. 스프링으로 전환하기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discountPolic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
  • AppConfig에 설정을 구성한다는 뜻의 @Configuration을 붙여준다.
  • 각 메서드에 @Bean을 붙여준다. 이렇게 하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스프링 컨테이너

  •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 기존에는 개발자가 AppConfig를 사용해서 직접 객체를 생성하고 DI를 했지만,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사용한다.
  • 스프링 컨테이너는 @Configuration 이 붙은 AppConfig를 설정(구성) 정보로 사용한다. 여기서 @Bean 이
    라 적힌 메서드를 모두 호출해서 반환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다. 이렇게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 한다.
  • 기존에는 개발자가 직접 자바코드로 모든 것을 했다면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객체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
    하고,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스프링 빈을 찾아서 사용하도록 변경되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